amsminn님의 면접 결과

40

총점

3

질문 수

1

좋아요

35

조회수

종합 평가

전체적으로 CS 기초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높으시고, 알고리즘의 원리와 동작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능력이 뛰어나십니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의 핵심 개념들을 정확히 파악하고 계시고, 관련 알고리즘(SPFA, 벨만-포드)과의 비교를 통해 깊이 있는 이해를 보여주셨습니다. 특히 단조증가 성질과 음수 간선 문제에 대한 설명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앞으로는 시간복잡도나 구체적인 수치에 대해서는 조금 더 정확한 정보를 기억해두시면 좋겠고, 예시를 활용한 설명을 더 많이 연습하시면 면접에서 더욱 돋보일 것 같습니다. 전반적으로 훌륭한 답변들이었습니다.

질문별 상세 분석

커뮤니티 공개
Q1A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응답 내용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기본적으로 시작점을 우선순위 큐에 삽입한 후, 우선순위큐에서 최상위 정점(남은 정점 중 최단경로가 가장 짧은)을 꺼내본 후, 이 노드와 인접한 노드들의 최단거리를 relax해준 후 priority _queue에 삽입합니다. 이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 다익스트라입니다. 이 때 중요한 점이 있다면, priority_queue에서 나오는 정점들의 최단경로는 단조증가해야합니다. 한정점이 큐에서 맨 처음 나왔을 때 그것이 최단경로라고 확정 지은후 다시 보지 않기 위해서 그렇습니다. 음수 간선이 있다면 이러한 과정이 깨지기 때문에, O(ElogE) 시간복잡도에서 O(VElogE) 시간복잡도가 됩니다. 밸만 포드보다도 못한 시간복잡도입니다. 그래서 다익스트라는 음수 간선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만 사용가능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최단경로를 잘 구해낸다는 보장은 bfs의 과정과 유사합니다. 현재까지 최단경로가 잘 구해진 집합 V가 있고 아직 남아있는 정점들(V') 우선순위 큐에 존재한다고 가정합니다. 그래서 min(V')가 max(V)보다 작은 경우가 존재하지 않음을 보이면 귀납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AI 피드백

매우 뛰어난 답변입니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의 핵심 메커니즘을 정확하게 설명하셨고, 특히 우선순위 큐를 사용한 구현 방식과 relax 과정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계시네요. 시간복잡도 분석도 정확하며, 음수 간선이 있을 때의 문제점과 그로 인한 성능 저하까지 언급하신 점이 인상적입니다. 정확성 증명을 위한 귀납적 접근법도 올바르게 설명하셨습니다. 다만, 답변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구체적인 예시나 실제 사용 사례를 함께 설명하면 더욱 좋겠습니다. 또한 'relax' 연산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완벽할 것 같습니다.

Q2B

relax 연산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특히 어떤 조건에서 거리가 업데이트되는지와 함께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설명해주시면 됩니다.

응답 내용

relax 연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dist[to] > dist[from] + cost(from, to)일 때 dist[to] = dist[from] + cost(from, to)로 갱신해주는 행위 입니다. 정확하지 않지만 LP와 같은 분야에서 파생된 용어로 알고 있습니다.

AI 피드백

relax 연산에 대한 핵심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계시네요. 조건식과 업데이트 과정을 명확하게 설명해주셨고, LP(Linear Programming)와의 연관성까지 언급해주신 점이 좋습니다. 다만 질문에서 요청한 구체적인 예시가 빠져있어서 아쉽습니다. 예를 들어 'A에서 C로 가는 기존 거리가 10이었는데, A→B→C 경로를 통해 8로 단축될 수 있다면 relax를 통해 dist[C]를 8로 업데이트한다'와 같은 구체적인 숫자 예시가 있었다면 더욱 완벽한 답변이 되었을 것입니다.

Q3B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에서 우선순위 큐를 사용하는 이유와, 만약 일반 큐를 사용한다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설명해주세요.

응답 내용

우선순위큐를 사용하는 이유는 모든 정점이 처음 pop됐을때 최단거리를 결정내기 위해섭니다. 일반 큐를 사용해도 괜찮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한정점이 여러번 pop되면서도 계속 최단거리가 갱신될 수 있고 나올때마다 relax를 수행해야합니다. 이러한 구현 방법을 spfa라고 하고, 평균 시간복잡도에서는 O(V+E)로 다익스트라보다 월등히 좋습니다.

AI 피드백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도가 상당히 높으시네요!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의 핵심 원리와 동작 과정을 정확하게 설명해주셨고, 특히 단조증가 성질과 음수 간선 문제, 그리고 SPFA와의 비교까지 언급하신 점이 인상적입니다. relax 연산에 대한 설명도 정확했습니다. 다만 몇 가지 보완하면 좋을 부분이 있습니다. 첫째, 우선순위 큐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에서 '최단거리 순서대로 처리하여 각 정점을 한 번만 방문'한다는 핵심 개념을 더 명확히 하면 좋겠습니다. 둘째, 일반 큐 사용 시의 문제점에서 시간복잡도가 더 나빠질 수 있다는 점(최악의 경우 지수적 증가)을 언급하면 더 완벽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SPFA의 평균 시간복잡도가 O(V+E)라고 하셨는데, 실제로는 평균적으로 O(E) 정도이고 최악의 경우 O(VE)가 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공유 안내

• 이 결과는 AI가 분석한 내용이며, 학습 목적으로 커뮤니티에 공유됩니다.

• 좋아요를 눌러 유용한 답변에 반응을 남겨보세요.

• 개인정보는 포함되지 않으며, 면접 연습 개선을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