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울의음쥑이는성님의 면접 결과

20

총점

3

질문 수

0

좋아요

2

조회수

종합 평가

웹뷰와 네이티브 간 통신 메커니즘에 대한 실무적 이해가 돋보이며, 특히 iOS 환경에서 Speech Recognition API의 호환성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한 경험이 인상적입니다. 다만 Postmessage 방식 사용 시 보안 관련 고려사항에 대한 이해가 다소 부족했으며, 메시지 암호화 외에도 origin 검증, CSRF 방어 등 웹 보안의 기본 원칙에 대한 더 깊은 이해가 필요해 보입니다. 앞으로 웹 보안 기초(동일 출처 정책, CORS, XSS 방어)와 네이티브-웹 통신 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에 대해 추가 학습하시고, 실제 프로덕션 환경에서의 안전한 구현 방법론을 연구하시길 권장합니다.

질문별 상세 분석

커뮤니티 공개
Q1B

크로스 브라우징 이슈를 해결했던 경험을 말씀해주세요.

응답 내용

이번 꼬꼬면이라는 모의면접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웹뷰 내 브라우저에서의 호환성을 해결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음성 인식을 Web API중 하나인 Speech Recognition을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이 WEB API는 IOS 웹뷰에서도 사용이 가능했지만 지원하는 웹뷰의 버전이 제한적이었습니다. 따라서 이 폴리필을 통해 웹뷰 내에서 음성인식을 가능하게 했어야 했는데, 조금 다르게 접근해서 IOS 내부의 Speech Recognition 온디바이스 모듈을 사용하도록 웹뷰에서 네이티브쪽으로 메시지를 보내어 조작하는 방식으로 음성인식이 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음성 인식 모듈이 대부분 IOS 사용자들의 99% 이상 지원했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AI 피드백

웹뷰와 네이티브 간의 브릿지 통신을 활용하여 iOS의 온디바이스 Speech Recognition 모듈을 사용한 해결책은 매우 실용적이고 좋은 접근 방법이었습니다. 하지만 크로스 브라우징 이슈 해결이라는 질문의 핵심에서 약간 벗어난 감이 있습니다. 크로스 브라우징은 주로 서로 다른 브라우저(Chrome, Safari, Firefox 등) 간의 호환성 문제를 다루는 개념인데, 답변에서는 웹뷰 버전 간의 호환성 문제를 다루셨네요. 앞으로는 User Agent 감지를 통한 브라우저별 분기 처리, CSS 벤더 프리픽스 사용, 바벨과 같은 트랜스파일러 활용 등 전통적인 크로스 브라우징 해결 방법들에 대해서도 학습해보시면 좋겠습니다.

Q2B

웹뷰에서 네이티브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어떻게 구현하셨나요?

응답 내용

웹뷰는 React-Native-Webview를 사용했었는데, 네이티브 내에서 웹뷰를 제어하면서 웹뷰에 ReactNativeWebView를 주입하여 Postmessage를 통해 메시지를 네이티브와 교환할 수 있었습니다. 처음 음성인식 시작 버튼을 누르면 음성인식 시작이라는 메시지를 보내고, 이를 네이티브에서 받아서 음성인식 모듈을 실행시키고 종료시키는 메커니즘으로 구현했습니다.

AI 피드백

React Native WebView와 postMessage를 통한 네이티브-웹 간 통신 메커니즘을 정확하게 설명해주셨고, 실제 구현 경험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예시도 잘 제시해주셨습니다. 다만 답변이 다소 간략해서 더 자세한 기술적 세부사항이 있었다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네이티브 측에서 메시지를 받는 이벤트 리스너 구현 방식이나, 양방향 통신에서 네이티브에서 웹뷰로 결과를 다시 전달하는 과정도 함께 설명해주시면 더 완성도 높은 답변이 될 것 같습니다. 또한 이러한 브릿지 통신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동기 처리나 에러 핸들링 방식에 대해서도 추가로 학습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Q3C

Postmessage 방식에서 보안 관련 이슈는 어떻게 처리하셨나요?

응답 내용

Postmessage 방식에서 보안 관련 이슈는 아직 네이티브에서 직접 주입하기 때문에 제대로 생각을 못했던 것 같습니다. 만약 지금 개선하라고 한다면 메시지 자체를 해싱해서 암호화하는 정도를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AI 피드백

보안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계신 점은 좋습니다. 하지만 웹뷰와 네이티브 간 통신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구체적인 보안 위협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보입니다. 단순한 해싱이나 암호화보다는 메시지 출처 검증(origin validation), 허용된 도메인 화이트리스트 관리, 메시지 타입 및 페이로드 검증, 그리고 CSP(Content Security Policy) 설정 등이 더 중요한 보안 대책입니다. 웹뷰 보안의 핵심은 XSS 공격이나 악성 스크립트 주입을 방지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공격 벡터와 대응 방안에 대해 학습하시면 좋겠습니다.

커뮤니티 공유 안내

• 이 결과는 AI가 분석한 내용이며, 학습 목적으로 커뮤니티에 공유됩니다.

• 좋아요를 눌러 유용한 답변에 반응을 남겨보세요.

• 개인정보는 포함되지 않으며, 면접 연습 개선을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