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울의음쥑이는성님의 면접 결과

30

총점

3

질문 수

0

좋아요

2

조회수

종합 평가

웹 개발과 SEO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를 갖추고 있으며 특히 서버사이드 렌더링의 SEO 이점을 정확히 설명한 점이 인상적입니다. 다만 크롤러의 인덱싱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에서 DFS만 언급하고 BFS나 우선순위 기반 크롤링 등 다양한 크롤링 알고리즘과 robots.txt, 페이지 중요도, 링크 구조 분석 등 실제 검색 엔진이 활용하는 복잡한 알고리즘적 접근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부족해 보입니다. 웹 크롤링과 인덱싱의 기술적 세부사항, 특히 그래프 이론과 검색 엔진 알고리즘의 연관성에 대해 더 깊이 학습하시고, 실제 검색 엔진 최적화 작업에서 이러한 이론적 지식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실무 사례를 통해 이해를 넓히시길 권장합니다.

질문별 상세 분석

커뮤니티 공개
Q1A

SEO는 어떤 식으로 신경쓰셨나요?

응답 내용

meta 태그에 오픈 그래프나 title, description을 통해서 Head쪽에 신경을 썼었고, 시멘틱 태그를 최대한 고려해서 마크업을 작성했습니다. 또한 robots.txt를 따로 설정하여 크롤러가 해당 페이지를 인덱싱하고 링크를 따라갈 지에 대한 여부를 명시했습니다. 또한 sitemap.xml을 설정하여 링크들의 Map을 적용했습니다. 추가적으로 서버사이드 렌더링을 적용하여 크롤러가 페이지에 진입했을 때 바로 렌더링된 결과가 나와 내부 콘텐츠를 제대로 가져갈 수 있게끔 설정하였습니다.

AI 피드백

SEO에 대한 답변이 매우 포괄적이고 실무적으로 잘 구성되어 있습니다. meta 태그 최적화, 시멘틱 마크업, robots.txt, sitemap.xml, 그리고 서버사이드 렌더링까지 SEO의 핵심 요소들을 모두 언급하셨고, 특히 크롤러 관점에서 각 기술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명확하게 설명해주셨습니다. 다만 답변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예시를 추가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title 태그는 50-60자 내외로 작성했다"거나 "시멘틱 태그 중 article, section, header 등을 활용했다"와 같은 구체적인 사례를 언급하시면 더욱 설득력 있는 답변이 될 것입니다.

Q2B

서버사이드 렌더링이 SEO에 어떤 이점을 제공하나요?

응답 내용

서버사이드 렌더링은 SEO에서 콘텐츠를 제대로 가져오도록 하며 이점을 제공합니다. 클라이언트사이드렌더링의 경우 처음 페이지에 진입한 후 자바스크립트가 실행되어야 하고, 해당 자바스크립트에서 또 다시 리소스를 가져와야 하는 만큼 그 레이턴시를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이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크롤러는 콘텐츠를 제대로 가져가기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리 렌더링된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크롤러가 콘텐츠를 올바르게 가져갈 수 있도록 합니다.

AI 피드백

서버사이드 렌더링이 SEO에 미치는 핵심적인 영향을 잘 이해하고 계시고, 특히 크롤러가 JavaScript 실행을 기다리지 않고도 완성된 HTML을 즉시 파싱할 수 있다는 점을 정확하게 설명해주셨습니다. 다만 답변을 더욱 완성도 있게 만들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예시를 추가하시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Google 크롤러가 SPA에서 빈 div만 발견하는 상황"이나 "검색 결과에서 메타 정보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문제" 등을 언급하시면 더욱 설득력 있는 답변이 될 것입니다. 또한 CSR과 SSR의 차이점을 설명할 때 "초기 페이지 로드 시간", "TTFB(Time To First Byte)" 같은 성능 관련 전문용어를 활용하시면 기술적 깊이를 더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Q3C

크롤러가 웹페이지를 인덱싱하는 정확한 메커니즘은 무엇인가요?

응답 내용

크롤러가 웹페이지를 인덱싱하는 메커니즘은 HTML을 따라서 각각의 링크를 만나면 Dfs 방식으로 계속해서 진입하면서 끝까지 파고듭니다. Dfs 방식으로 최대한 갈 수 있는 버튼과 링크 등을 탐색한 뒤 이를 기반으로 인덱싱하여 크롤링합니다.

AI 피드백

크롤러가 링크를 따라가며 탐색한다는 기본적인 개념은 잘 이해하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실제 크롤러의 동작 방식에 대해 몇 가지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습니다. 현대의 웹 크롤러들은 단순히 DFS만 사용하지 않고, 페이지의 중요도나 우선순위를 고려한 BFS 기반의 탐색이나 혼합된 방식을 사용하며, 크롤링 예산(crawl budget) 개념에 따라 모든 링크를 무제한으로 따라가지는 않습니다. 또한 robots.txt 준수, 사이트맵 활용, 중복 URL 처리, 페이지 품질 평가 등의 복합적인 요소들이 인덱싱 과정에 관여한다는 점을 추가로 학습하시면 더 완전한 답변이 될 것 같습니다.

커뮤니티 공유 안내

• 이 결과는 AI가 분석한 내용이며, 학습 목적으로 커뮤니티에 공유됩니다.

• 좋아요를 눌러 유용한 답변에 반응을 남겨보세요.

• 개인정보는 포함되지 않으며, 면접 연습 개선을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