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세한 익룡님의 면접 결과

30

총점

3

질문 수

0

좋아요

3

조회수

종합 평가

웹 서버와 WAS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계시지만, 답변이 다소 피상적이고 기술적 정확성이 부족한 부분이 있습니다. 특히 WAS와 웹 서버의 차이점에서 Java Servlet을 웹 서버로 분류한 점, 아파치 톰캣의 내부 구조를 설명할 때 'JSP 웹서버 컨테이너'라는 부정확한 용어를 사용한 점, 그리고 컨테이너의 역할을 DB 연결에만 국한시킨 점은 개선이 필요합니다. 앞으로 서블릿 컨테이너의 생명주기 관리, 요청 처리 메커니즘, 웹 서버와 WAS의 아키텍처적 차이점 등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핵심 개념을 더 깊이 학습하시고, 아파치 톰캣의 Coyote(HTTP 커넥터), Catalina(서블릿 컨테이너) 등의 구체적인 컴포넌트 구조를 이해하시길 권장합니다.

질문별 상세 분석

커뮤니티 공개
Q1B

WAS와 웹 서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응답 내용

was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약자로 사용자에게 동적인 결과를 리턴합니다. 그 예로 아파치 톰캣이 있습니다. 웹 서버는 정적인 콘텐츠를 리턴하는 서버로 그 예로 nginx, java servlet이 있습니다.

AI 피드백

WAS와 웹 서버의 기본 개념과 아파치 톰캣 예시를 잘 설명해주셨습니다. 다만 웹 서버 예시에서 Java Servlet을 언급하신 부분이 부정확합니다. Java Servlet은 웹 서버가 아니라 WAS에서 동작하는 Java 기반의 웹 컴포넌트 기술이므로, 웹 서버 예시로는 Apache HTTP Server나 Nginx가 적절합니다. 또한 두 서버의 차이점을 더 명확히 하기 위해 WAS는 비즈니스 로직 처리와 데이터베이스 연동이 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실제 운영 환경에서는 웹 서버와 WAS를 함께 사용하여 정적 콘텐츠는 웹 서버가, 동적 처리는 WAS가 담당하는 구조로 운영된다는 점을 추가로 학습하시면 좋겠습니다.

Q2B

아파치 톰캣의 내부 구조는 어떻게 되어 있습니까?

응답 내용

정적인 콘텐츠를 처리하는 웹서버와 동적인 콘텐츠를 처리하는 jsp 웹서버 컨테이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AI 피드백

아파치 톰캣이 정적 콘텐츠를 처리하는 웹서버와 동적 콘텐츠를 처리하는 JSP 컨테이너로 구성되어 있다는 기본적인 이해는 좋습니다. 하지만 톰캣의 실제 내부 구조는 더 복잡하며, 핵심 컴포넌트들에 대한 설명이 부족합니다. 톰캣은 Server - Service - Engine - Host - Context의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요청을 처리하는 Connector와 Container가 핵심 구성요소입니다. Catalina(서블릿 컨테이너), Coyote(HTTP 커넥터), Jasper(JSP 엔진) 등의 주요 컴포넌트들과 각각의 역할에 대해 학습하시면 더 완성도 높은 답변을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Q3B

JSP 웹서버 컨테이너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나요?

응답 내용

db와 연결되어 동적인 결과를 리턴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AI 피드백

JSP 웹서버 컨테이너가 동적인 결과를 리턴한다는 핵심 개념은 잘 파악하고 계시네요. 하지만 JSP 컨테이너의 역할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시면 좋겠습니다. JSP 컨테이너는 JSP 파일을 서블릿으로 변환하고 컴파일하는 역할, 서블릿의 생명주기 관리, 그리고 HTTP 요청을 처리하여 응답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DB 연결은 JSP 컨테이너의 직접적인 역할이라기보다는 애플리케이션 로직에서 수행되는 작업이므로, 컨테이너 자체의 핵심 기능인 JSP-to-Servlet 변환과 실행 환경 제공에 대해 학습하시면 더 정확한 이해가 가능할 것 같습니다.

커뮤니티 공유 안내

• 이 결과는 AI가 분석한 내용이며, 학습 목적으로 커뮤니티에 공유됩니다.

• 좋아요를 눌러 유용한 답변에 반응을 남겨보세요.

• 개인정보는 포함되지 않으며, 면접 연습 개선을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