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총점
3
질문 수
0
좋아요
2
조회수
데이터베이스 인덱스에 대한 기본 개념은 이해하고 계신 것으로 보이나, 답변이 다소 피상적이고 기술적 깊이가 부족합니다. 특히 클러스터드/넌클러스터드 인덱스의 차이점은 기본적인 특성을 언급하셨으나, 인덱스 페이지 구성 방식이나 B-트리 구조에서의 페이지 분할에 대한 설명은 구체성과 정확성이 많이 부족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인덱스의 내부 구조, B-트리/B+트리의 특성, 인덱스 관리 메커니즘, 그리고 이들이 쿼리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더 깊이 학습하시길 권장합니다. 면접 준비를 위해 실제 DBMS 시스템(MySQL, PostgreSQL 등)의 인덱스 구현 방식을 살펴보고, 쿼리 실행 계획을 분석해보는 실습을 병행하시면 개념을 더 확실히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clustered index는 물리적으로 레코드를 재배열하는 인덱스로 Non-clustered index보다 빠른 속도를 보이나 데이터 추가 / 삭제 시 데이터 재배열이 필요하다. PK에서 자동으로 생성 Non-clustered index는 물리적으로 정렬하지 않은 레코드를 기준으로 페이지가 구성되는 index로 unique 조건을 건 열에서 자동으로 생성된다.
클러스터드 인덱스와 넌클러스터드 인덱스의 핵심 차이점인 물리적 데이터 정렬 여부와 성능 특성을 잘 설명해주셨고, 각각의 생성 조건도 정확하게 언급해주셨습니다. 다만 넌클러스터드 인덱스의 생성 조건에서 약간의 오해가 있는데, UNIQUE 제약조건이 있는 열에서만 자동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개발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의 열에 생성할 수 있으며, UNIQUE 제약조건 시에는 자동으로 넌클러스터드 인덱스가 생성되는 것입니다. 또한 클러스터드 인덱스는 리프 페이지가 실제 데이터 페이지이고, 넌클러스터드 인덱스는 리프 페이지가 데이터의 위치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포함한다는 내부 구조적 차이점을 추가로 학습하시면 더욱 완성도 높은 답변이 될 것 같습니다. 전반적으로 두 인덱스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계시는 것 같으니, 내부 동작 원리와 실제 사용 사례들을 더 깊이 공부해보시길 권합니다.
pk의 일정한 범위를 기준으로 그 위치를 저장한다.
인덱스 페이지 구성에 대해 기본적인 이해를 보여주신 점은 좋습니다. 하지만 답변이 너무 간략하고 핵심적인 내용이 많이 누락되어 있습니다. 인덱스 페이지는 실제로 B-Tree 구조로 구성되며, 리프 페이지와 논리프 페이지로 나뉘고, 각 페이지는 키 값과 포인터(페이지 ID 또는 RID)를 저장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는 점을 설명하셨으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B-Tree 구조, 페이지 분할, 페이지 내부의 슬롯 배열 등 인덱스의 물리적 저장 구조에 대해 더 깊이 학습하시기를 권합니다.
인덱스가 용량이 꽉 차게 되면 데이터가 분할되어 자식 노드로 나누어진다.
페이지 분할의 기본 개념인 "용량이 꽉 차면 분할되어 자식 노드로 나누어진다"는 부분은 맞게 이해하고 계시네요. 하지만 답변이 너무 간략해서 B-트리에서 페이지 분할이 언제,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부족합니다. 페이지 분할은 리프 노드나 내부 노드가 가득 찬 상태에서 새로운 데이터가 삽입될 때 발생하며, 중간값(median)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두 개의 노드로 나누고 중간값은 부모 노드로 승격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B-트리의 균형 유지 메커니즘과 페이지 분할로 인한 성능 영향에 대해서도 추가로 학습해보시면 좋겠습니다.
• 이 결과는 AI가 분석한 내용이며, 학습 목적으로 커뮤니티에 공유됩니다.
• 좋아요를 눌러 유용한 답변에 반응을 남겨보세요.
• 개인정보는 포함되지 않으며, 면접 연습 개선을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