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세한 익룡님의 면접 결과

30

총점

3

질문 수

0

좋아요

2

조회수

종합 평가

운영체제의 프로세스 관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보여주셨으나, 각 개념에 대한 설명이 다소 간략하여 깊이 있는 이해를 확인하기 어려웠습니다. 프로세스 상태 변화에서 '준비(ready)', '실행(running)', '대기(waiting/blocked)', '종료(terminated)' 상태를 언급하셨지만, 각 상태 간 전이 조건이나 스케줄러의 역할에 대한 설명이 부족했습니다. 인터럽트 처리 과정에서 핸들러와 상태 저장을 언급한 점은 좋았으나, 인터럽트 벡터 테이블, 우선순위 처리, 컨텍스트 스위칭의 구체적 메커니즘 등 세부 사항을 보완하시면 좋겠습니다. 운영체제 교재(예: Silberschatz의 'Operating System Concepts')를 통해 프로세스 관리와 인터럽트 처리 메커니즘을 더 깊이 학습하고, 실제 리눅스 커널 코드를 살펴보며 이론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이해하시길 권장합니다.

질문별 상세 분석

커뮤니티 공개
Q1B

Process 상태 변화 과정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응답 내용

실행 준비, 실행, 대기, 종료의 상태로 변화됩니다.

AI 피드백

프로세스의 기본적인 상태들을 언급해주신 점은 좋았습니다. 하지만 답변에서 몇 가지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있습니다. 먼저 프로세스 상태는 일반적으로 New(생성), Ready(준비), Running(실행), Waiting/Blocked(대기), Terminated(종료)의 5가지 상태로 구분되며, 각 상태 간의 전환 조건을 함께 설명하시면 더 완성도 높은 답변이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Ready에서 Running으로는 CPU 스케줄러에 의해 선택될 때, Running에서 Waiting으로는 I/O 요청이나 자원 대기 시에 전환된다는 구체적인 전환 조건들을 추가로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Q2B

프로세스가 대기 상태로 전환되는 구체적인 원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응답 내용

IO 대기, 인터럽트, 자원 할당 대기의 원인이 있습니다.

AI 피드백

프로세스가 대기 상태로 전환되는 주요 원인들을 잘 파악하고 계시네요. IO 대기와 자원 할당 대기는 정확한 답변이고, 특히 IO 작업은 가장 일반적인 대기 상태 전환 원인입니다. 다만 인터럽트의 경우 프로세스를 대기 상태로 직접 전환시키기보다는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중단시켜 준비 상태로 보내는 역할을 하므로 조금 다른 개념입니다. 추가로 세마포어나 뮤텍스 같은 동기화 객체 대기, 자식 프로세스 종료 대기(wait 시스템 콜), 특정 시간까지의 대기(sleep) 등도 중요한 대기 상태 전환 원인이니 함께 학습해보시면 좋겠습니다.

Q3B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운영체제는 어떤 처리 과정을 수행하나요?

응답 내용

인터럽트 핸들러가 CPU의 상태를 저장하고 인터럽트 필터를 이용해 인터럽트 처리를 한 뒤 저장된 CPU의 상태를 되돌립니다.

AI 피드백

인터럽트 처리 과정의 핵심 단계들을 잘 파악하고 계시네요. CPU 상태 저장, 인터럽트 처리, 상태 복원이라는 기본적인 흐름을 정확히 설명해주셨습니다. 다만 '인터럽트 필터'라는 용어보다는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SR)' 또는 '인터럽트 핸들러'가 더 정확한 표현이며, 실제로는 인터럽트 벡터 테이블을 통해 해당 인터럽트에 맞는 핸들러를 찾아 실행하는 과정이 포함됩니다. 추가로 인터럽트 우선순위 처리나 중첩 인터럽트 처리 방식에 대해서도 학습해보시면 더욱 완성도 높은 답변을 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커뮤니티 공유 안내

• 이 결과는 AI가 분석한 내용이며, 학습 목적으로 커뮤니티에 공유됩니다.

• 좋아요를 눌러 유용한 답변에 반응을 남겨보세요.

• 개인정보는 포함되지 않으며, 면접 연습 개선을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