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llmin님의 면접 결과

30

총점

3

질문 수

0

좋아요

4

조회수

종합 평가

면접자는 스프링의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과 AOP 기반 프록시 메커니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잘 보여주셨으며, 특히 트랜잭션 처리 과정과 프록시 객체의 동작 방식에 대한 설명이 명확했습니다. 다만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에 대한 답변에서는 약간의 개념적 혼란이 있었는데, 이는 실제 스프링의 구현체와 자바 표준 명세를 혼동한 것으로 보이며, 스프링의 트랜잭션 관리 메커니즘과 ThreadLocal을 활용한 리소스 바인딩에 대한 더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앞으로는 스프링의 내부 동작 원리에 대한 학습을 더 깊게 하시고, 특히 스프링 트랜잭션의 전파 속성(Propagation)과 격리 수준(Isolation Level)에 대한 이해를 높이신다면 더욱 완성도 높은 답변이 가능할 것입니다.

질문별 상세 분석

커뮤니티 공개
Q1A

@Transactional 의 동작 방식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응답 내용

@Transactional 은 AOP를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빈으로 등록된 객체들의 프록시가 만들어지는데,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이 붙여진 빈들에 대해서도 프록시 객체가 만들어집니다. 이때,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이 붙여진 public 메소드가 호출되면, 프록시를 거쳐서 원본 메소드가 호출되고, 그 사이에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에 의해, 데이터 소스로부터 커넥션을 가져오고 트랜잭션을 시작합니다. 해당 어노테이션과 기술 덕분에,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트랜잭션을 정의할 수 있게 되었으며, 중간에 예외가 발생할 경우 롤백 처리를 수행합니다. 하지만 실제 데이터 소스에서 커넥션을 가져오므로, 하나의 트랜잭션 안에서 너무 긴 작업을 수행할 경우, 커넥션 부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AI 피드백

@Transactional의 AOP 기반 동작 방식과 프록시 생성,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의 역할, 그리고 커넥션 풀 고갈 문제까지 핵심적인 내용들을 정확하게 설명해주셨습니다. 특히 실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커넥션 부족 문제를 언급한 점이 매우 좋았습니다. 다만 @Transactional의 전파 속성(Propagation)이나 격리 수준(Isolation Level) 같은 중요한 설정 옵션들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면 더욱 완성도 높은 답변이 되었을 것 같습니다. 또한 체크 예외와 언체크 예외에 따른 롤백 동작의 차이점도 함께 학습해보시면 트랜잭션 관리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질 것입니다.

Q2B

AOP 기반 프록시가 @Transactional 메소드를 처리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요?

응답 내용

AOP 프록시가 @Transactional 메소드를 호출할 때는 해당 메소드가 반드시 public 이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또한 원본 클래스 내부에서 @Transactional이 붙은 private 메소드를 호출하게 될 경우, 이는 Proxy 객체를 거치지 않고 바로 직접 호출이 되기 때문에, 데이터 소스에서 커넥션을 가져와 트랜잭션을 시작하는 과정이 생략되게 됩니다.

AI 피드백

AOP 프록시의 핵심 문제점들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계시네요. public 메소드에서만 동작한다는 점과 내부 메소드 호출 시 프록시를 우회하는 문제를 명확하게 설명해주셨습니다. 다만 답변에서 언급하신 "private 메소드"는 실제로는 같은 클래스 내의 다른 @Transactional 메소드를 호출하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 같은데, 이 부분을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하시면 좋겠습니다. 추가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들(예: self-injection, AspectJ 위빙 등)에 대해서도 학습해보시면 더욱 완성도 높은 답변이 될 것 같습니다.

Q3C

스프링의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나요?

응답 내용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는, 인터페이스로 자바 진영에서 트랜잭션 동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즉, 자바의 표준 명세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여러 데이터베이스 접근 기술은 이러한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있고, 개발자는 이러한 구현 프레임워크를 사용합니다. 추상과 구현의 분리가 되어 있으므로, 개발자는 구현 라이브러리를 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를 Service Provider Interface 라고 합니다.

AI 피드백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에 대한 개념적 이해는 좋으나, 실제로는 Spring Framework의 구체적인 클래스로서 트랜잭션 리소스와 동기화 상태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답변에서 언급하신 "자바 표준 명세"나 "인터페이스"라는 설명은 정확하지 않으며, 실제로는 ThreadLocal을 활용하여 현재 스레드의 트랜잭션 컨텍스트를 관리하고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바인딩하는 Spring의 핵심 컴포넌트입니다. SPI(Service Provider Interface) 패턴과는 다른 개념이므로,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의 실제 동작 방식인 리소스 바인딩, 트랜잭션 동기화 콜백 관리, ThreadLocal 기반 컨텍스트 관리 등에 대해 학습하시면 좋겠습니다. 또한 PlatformTransactionManager와의 관계나 실제 트랜잭션 처리 과정에서의 역할을 이해하시면 더욱 도움이 될 것입니다.

커뮤니티 공유 안내

• 이 결과는 AI가 분석한 내용이며, 학습 목적으로 커뮤니티에 공유됩니다.

• 좋아요를 눌러 유용한 답변에 반응을 남겨보세요.

• 개인정보는 포함되지 않으며, 면접 연습 개선을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됩니다.